기사 (게임)

[마이크로소프트/엑스박스] We’ve run the maths… Xbox Series X GPU is at least 12% faster than the RX 5700 XT / 계산해 보았더니... Xbox Series X의 GPU는 RX 5700 XT보다 최소 12% 빨라

매튜인가젯 2020. 2. 27. 20:08

올 연말은 양대 게임 콘솔인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와 소니의 PlayStation이 모두 풀 모델 체인지한 신형 모델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양, 기존 세대와의 호환성 등 각종 정보가 조금씩 공개(또는 유출)될 때마다 많은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는데요. 이번 기사는 Xbox의 차세대 제품 'Xbox Series X'의 그래픽 성능에 대한 기사입니다.

 


 

기사 출처: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PCGamesN, 2020-02-26)

 

We’ve run the maths… Xbox Series X GPU is at least 12% faster than the RX 5700 XT

계산해 보았더니... Xbox Series X의 GPU는 RX 5700 XT보다 최소 12% 빨라

'run the math'는 'do the math'와 같은 표현이며 'math'는 '수학, 계산'을 의미하는 'mathematics'를 줄인 말입니다. 이 문장처럼 말 그대로 '계산하다'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맥락에 따라서는 '(여러 조건/상황들을 놓고) 따져보다'는 의미로도 쓰이는데 머리 속에서 계산기를 두드린다는 뉘앙스는 공통적이죠.
여기까지 오셔서 기사를 읽으시는 분들이니 다 아시겠지만 RX 5700 XT는 그래픽 카드에서는 Nvidia와, CPU에서는 인텔과 경쟁을 벌이는 AMD가 Radeon 브랜드 하에서 2019년 7월 7일에 선보인 최신 그래픽 카드 라인업에서도 상급에 속하는 모델입니다. 출시 가격은 399달러, 우리나라에서는 40-60만 원 대의 상대적으로 고가품에 속하는 제품입니다. 

 

Microsoft has lifted the lid on the specifications for the Xbox Series X, and it’s eye-opening for us PC gamers.

마이크로소프트가 Xbox Series X의 사양을 공개했는데 우리들 PC 게이머로서는 눈이 번쩍 뜨이는 수준이다.

'lift the lid'는 '뚜껑(lid)'을 '들어올린다(lift)'는 의미로 '공개한다'는 표현입니다. 많은 표현들이 사용되는데 IT에서 신제품, 신기술의 공개와 관련해서는 이 표현과 함께 'unveil'이라는 단어도 자주 사용되죠. 베일(veil)을 벗기니(un) 결국 그 안에 있던 것이 공개되는 이미지입니다.

lift the lid  /  specification  /  eye-opening

 

With AMD at the helm of chip design, and bringing RDNA 2 to the party, the announcement from Xbox offers us a glimpse of what’s in store for PC gaming and our gaming PCs from team Radeon.

칩 설계의 패권을 쥐고 있는 AMD가 RDNA 2를 선보이는 가운데, 이번 Xbox의 발표를 통해 Radeon 팀이 PC 게이밍과 우리들이 사용하는 게이밍 PC에 어떤 것들이 준비되어 있는지 들여다볼 수 있다.

'at the helm'은 'helm'이 배의 '키'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주도권을 쥐다', '책임을 지다', '리드한다'라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의견이 엇갈릴 수 있겠지만 대략 8세대 Core CPU부터 시작된 인텔의 우왕좌왕 답보와 Ryzen CPU로 상징되는 AMD의 화려한 부활을 생각하면 당연한 표현이기도 하겠네요.

at the helm
'glimpse'는 '잠깐/언뜻 봄'을 의미합니다. 이번 공개가 삼성의 Unpacked 이벤트처럼 정식적으로 모든 게 공개된 것이 아니기도 하고 이 기사의 타이틀을 보면 Xbox 자체보다는 PC 게이밍에 다가올 변화를 언급하는 것이어서 더더욱 'glimpse'라는 단어가 적합하겠죠. 

glimpse (a glimpse of)
'in store for'라는 표현에서 'store'는 물리적인 공간인 '가게'라는 의미는 없고 상징적으로 무언가가 '준비된/예비된' 공간이라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RDNA는 AMD의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아키텍처의 이름입니다. 작년에 RDNA가 소개되었고 올해 차기 아키텍처인 RDNA 2가 소개될 예정입니다. 새로운 제품이 나오고... 가격은 오르겠죠.

 


 

 You may have heard the news already: AMD is delivering a GPU capable of 12 TFLOPs with the Xbox Series X.

소식은 이미 들으셨겠지만 AMD가 Xbox Series X와 함께 12 TFLOPs의 능력을 가진 GPU를 선보인다.

TFLOPs = '테라플롭스'라고 읽으며 연산 능력의 단위입니다.

 

2  That’s the equivalent of Nvidia’s RTX 2080 Ti in raw compute, in theory, but let’s break down what that really means for AMD, RDNA 2, and potentially Big Navi.

이러한 능력은 이론상으로는 Nvidia의 RTX 2080 Ti의 기초 연산 능력과 맞먹는 수준이나 이러한 수치가 실제로 AMD의 RDNA 2, Big Navi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자세히 살펴(분석해) 보자.

'equivalent'는 '동급, 맞먹는 것, 동등한 것' 등의 의미로 형용사적으로도 명사적으로도 사용됩니다. 참고로, RTX 2080 Ti는 Nvidia가 유명한 GeFroce 브랜드로 2018년 9월 27일에 출시한 최소 999달러의 최상급 부류에 속하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break down'은 '고장나다', '분해하다/나누다', 사람이 감정을 주체 못 하고 '허물어지다'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표현이니 맥락에 따라 따라가면 좋겠습니다. 여기서는 한 정보를 가지고 이 요소, 저 요소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본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equivalent  /  break down

 

3  While 12 TFLOPs is nothing to be sniffed at in regards to raw compute performance, it’s not representative of gaming performance.

기초 연산 능력에 관해서는 12 TFLOPs는 전혀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나 게이밍 성능을 직접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sniff at'은 무언가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 '무시하다/거들떠도 안 보다/대수롭지 않게 여기다/콧방귀 뀌다'라는 의미입니다. 백만 원을 훌쩍 넘어서는 그래픽 카드의 연산 능력인데 대수롭지 않을 수가 없겠죠.

 

4  There’s a whole heap of architectural optimisations between compute capability and higher fps in-game.

연산 능력과 게임에서 높은 FPS를 달성하는 것 사이에는 아키텍처의 최적화라는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heap'은 '더미/무더기'라는 의미로 무언가가 '많다'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문장 내에서 'between'으로 대조되는 두 요소 사이에 큰 장벽, 큰 차이, 큰 간격이 있다는 의미죠. 참고로 FPS는 Frame Per Second의 약자로 초당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의 수를 말합니다. TV 영상도 일반적으로 초당 60장의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표시되면서 이를 '동'영상으로 느끼는 것인데 게임에서는 특히 이 프레임 수가 높아야 버벅대지 않고 원활한 화면으로 플레이가 가능해서 그래픽 카드의 게이밍 성능에서 대단히 중시하는 지표입니다.

 

5  Take, for example, AMD’s RX Vega 64.

예를 들어 AMD의 RX Vega 64를 살펴 보자.

 

6  This Vega GPU is rated to 12.66 TFLOPs (single-precision), roundabout on par with the proposed Series X GPU.

이 Vega GPU는 12.66 TFLOPs로 평가되는데 이는 발표된 Series X의 GPU와 대략 동등한 성능이다.

'on par with'는 앞과 뒤에 나오는 두 요소가 '어깨를 나란히 하다/견주다/동등하다'는 의미입니다. 뉘앙스 면에서 앞에 등장한 'equivalent'와 엮어서 기억하면 좋겠네요.

on par with

 

7  By that metric, the Vega GPU should be up there with Nvidia’s RTX 2080 Ti upwards of 12-14 TFLOPs.

이 수치를 놓고 보면 Vega GPU는 12-14 TFLOPs를 웃도는 Nvidia의 RTX 2080 Ti와 같은 영역에 있어야 할 것이다.

영어에는 'up there', 'down here', 'in here' 등 다양한 공간적인 표현이 사용되는데 물리적인 공간 뿐만 아니라 이 문장처럼 상징적인 공간도 포함됩니다. 여기서는 12-14 TFLOPs라는 성능적으로 높은 부분(upwards)을 언급하고 있어 굳이 'there'가 아니라 'up there'라고 표기한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말로 옮길 시 너무 세부적으로 집착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합니다. 'there' 자체도 '저기' 같은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영역'이라는 상징적인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 부분은 감안하여 옮기면 충분할까 싶네요.

 

8  Yet the RX Vega 64 never gets close.

하지만 RX Vega 64는 근처에도 못 간다.

 

9  That’s because the Vega architecture is GCN-based, and best suited to compute-focused tasks.

그 이유는 Vega 아키텍처가 GCN에 토대를 두고 있으며 연산에 초점을 맞춘 작업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based'는 다양하게 사용되는데요. 앞에 지역이 나옴으로써 어떤 조직, 회사 등이 특정 지역에 본사/거점을 두고 있다거나, 원료가 나옴으로써 어떤 제품이 특정 원료를 이용해 만들어졌다거나, 이 기사처럼 어떤 제품이 특정 기술에 토대를 두고 만들어졌다는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공통적인 뉘앙스는 '토대, 기반, 기초'입니다.
'suited to'는 to 이하의 것에 '어울리다/적합하다'는 의미이며 그 어울리는 정도를 표현하기 위해 앞에 'best', 'ideally' 또는 역으로 'ill'(완전히 안 어울리는/부적합한), 'poorly' 등의 표현이 따라붙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무슨 표현이 따라붙느냐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겠죠.

suited to

 

10  In gaming tasks it requires optimisations to get up to speed, which few developers saw fit to introduce.

게이밍 작업에서는 속도 달성을 위해 최적화가 필요한데 이를 진행하고자 하는 디벨로퍼는 거의 없다.

'see fit to'는 to 이하의 행동을 하는 것이 '맞다/적절하다고 보다', '하기로 결정/판단하다'는 의미입니다.

optimization

 

11  Hence why RDNA was created – an architecture forked off from GCN and built from the ground up for gaming.

이것이 RDNA가 개발된 이유다. RDNA는 GCN에서 분리되어 게이밍용으로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진 아키텍처다.

'fork'는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는 그 포크인데 동사로 쓰이면 '갈리다/나뉘다'라는 뜻이 있고 IT 기술 쪽에서는 소스가 되는 기술이 있고 거기서 '갈라져 나온' 기술, '분리된' 기술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소스에서 나온 것이니 'from'이 붙고, 더욱이 떼어냈으니 'off'가 붙어 있는 거죠.
'from the ground up'은 말 그대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는데 기존 기술/토대를 살짝 살을 붙이는 수준이 아니라 거의 처음부터 다시 만들다, 구축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작업이니 디벨로퍼들이 일일이 최적화에 나서는 일이 'fit'하다고 'see'하지 않는 거겠죠.

from the ground up

 

12  But herein lies the issue. We cannot say for sure how great an improvement RDNA 2 will be over Vega, nor how much performance its optimisations alongside TSMC’s 7nm+ process node will count for up against Nvidia Turing.

하지만 문제는 이 점에 있다. RDNA 2가 Vega에 비해 얼마나 개선될 것인지, TSMC의 7nm+ 공정과 병행한 최적화를 통해 성능 면에서 Nvidia의 Turing과 어떻게 대적할 것인지 확실히 단언할 수 없는 것이다.

'herein lies'는 뒤에 '문제/이슈' 등의 단어를 수반해 '문제는 여기에 있다, 이 점에 있다'는 의미로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니 뭉쳐서 봐두면 나중에 볼 때 반갑겠네요.
'count for'는 이하에 나오는 것에 대해 '가치를 가지다', '유효하다'라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여기서는 경쟁사의 제품에 대해(up against) 어떤 가치를 가질지 의문을 표하는 것이므로 아예 '대적하다'는 용어로 옮겨 본 부분입니다.

 

13  Essentially, an apples to apples comparison is out of the question.

기본적으로 두 제품을 놓고 비교할 수는 없다.

문제의 그래픽 카드가 장착된 Xbox X Series는 출시도 안 되었을 뿐더러 PC용 카드인 경쟁제품과 게임 콘솔용 전용 그래픽 카드 간에는 올바른 비교는 할 수 없겠죠. 그래서 '사과 대 사과'로, 즉 동일한 조건 하에서 비교할 수는 없다는 말이 나옵니다.

 

14  Rather, we can at least speculate as to the gaming performance versus the existing high-end RDNA graphics card: the RX 5700 XT.

하지만 적어도 현존하는 하이엔드 RDNA 그래픽 카드인 RX 5700 XT에 대비해 게이밍 성능에 관해 추측해 볼 수는 있다.

'as to'는 둘이 붙어서 '~에 관해'라는 의미입니다.

speculate

 

15  The RX 5700 XT peaks around 9.8 TFLOPs, and delivers performance somewhere between the RTX 2060 Super and RTX 2070 Super – depending on the game and API in use.

RX 5700 XT는 최대 성능이 약 9.8 TFLOPs이며 사용 중인 게임과 API에 따라 RTX 2060 Super와 RTX 2070 Super 사이의 성능을 제공한다.

 

16  It’s also some 12% faster across our benchmarking suite than the RX 5700, which sits at 7.9 TFLOPs compute performance.

또, RX 5700 XT는 연산 능력이 7.9 TFLOPs인 RX 5700에 비해 당사의 벤치마킹 소프트웨어 전반에서 12% 빠르다.

'some'을 'about'이나 'approximately'와 같이 사용한 사례입니다. 12%는 평균치이며 각 소프트웨어마다 10-16% 등 속도 차이는 다양하겠죠.

 

17  By that logic, an RDNA GPU with 12 TFLOPs would manage performance capable of breaking into the upper echelons of Nvidia’s most expensive RTX 20-series graphics cards, and would be, at least, 12% faster than the RX 5700 XT.

이 논리에 따르면 12 TFLOPs의 능력을 가진 RDNA GPU는 Nvidia의 가장 비싼 RTX 20 시리즈 그래픽 카드의 상위 모델에 범접하는 능력 내지는 적어도 RX 5700 XT보다 12% 빠른 능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자주 쓰이는 단어는 아니나 'echelon'은 '등급, 계급, 계층' 등을 의미하는 단어로 여기서는 제품의 '등급' 내지는 그냥 '모델'로 대체해도 이해하기에 어려움은 없겠죠.

 

18  That would likely entail a GPU fit with either 48 or 56 CUs.

이는 48 내지는 56 CU가 탑재된 GPU를 의미한다.

용어가 참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CU = Compute Unit을 의미합니다. 그래픽 카드 내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부품 단위로 보면 되겠네요.

 

19  The final clock speed of which is dependent on the total number of cores – roughly 1.6GHz would be required for a 56 CU GPU to hit 12 TFLOPs, or just under 2GHz for a 48 CU GPU.

최종 클럭 스피드는 코어의 총 개수에 의존한다. 12 TFLOPs의 성능을 보이기 위해서는 1.6Ghz의 56 CU GPU 또는 2Ghz의 48 CU GPU가 필요하다.

 

20  But we also know AMD will be opting for the 7nm+ process node (N7+) from TSMC for RDNA 2, which promises moderate improvement to the existing 7nm node (N7) employed across AMD’s existing Ryzen and Navi lineup.

하지만 당사는 AMD가 RDNA 2용으로 TSMC의 7nm+ 공정을 채택할 것이라는 점도 알고 있으며, 이를 통해 AMD의 기존 Ryzen 및 Navi 라인업 전반에 이용되는 종래의 7nm 공정에 비해 성능이 다소 개선될 전망이다. 

'opt for'는 이하에 나오는 것을 '선택/채택하다'는 의미입니다. 반도체에서는 미세 공정(나노미터nm의 수치가 작은 제조공정)으로 갈 수록 성능과 전력 소비량이 개선된다고 하죠?
'employ'는 잘 알려진 '고용하다'는 의미 외에 특정 기술을 '이용하다/쓰다'라는 의미도 있답니다.

 

21  Along with efficiency upgrades produced by the synergy between Radeon and Zen teams, we suspect the real deal to be some degree faster than that minimum 12% boon.

Radeon 팀과 Zen 팀 간의 시너지를 통한 효율성 개선과 더불어 당사는 실제 제품이 최소 12%의 개선보다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boon'은 생활을 더 편리하고 좋게 만들어 주는 것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므로 옮길 때는 맥락에 따라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면 되겠네요. 
Radeon 팀은 AMD의 그래픽 카드 팀, Zen 팀은 AMD의 CPU 팀이 될까요. Zen은 AMD의 CPU에 사용되는 아키텍처의 이름입니다. 수년에 걸쳐 Zen > Zen+ > Zen 2까지 개량되었습니다.

 

22  There’s also memory to consider.

메모리도 고려해야 한다.

 

23  The Xbox Series X will come equipped with GDDR6, and we’d suspect that it will have plenty enough to tick over in the latest triple-A games without worry.

Xbox Series X에는 GDDR6가 장착될 예정이며 최신 AAA 게임에서 아무런 걱정 없이 작동되기에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tick over'는 '헛돌다/공회전하다'는 의미도 있지만 여기서는 '큰 문제 없이 잘 돌아가다'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있는 힘껏 열심히 돌아가는 게 가느라 여유롭게 잘 돌아간다는 뉘앙스랄까요.
 'GDDR6'는 최신 메모리 규격입니다. AAA 게임은 트리플A 게임이라고도 하며 다들 아시는 바와 같이... 게임계의 블록버스터라 할 수 있는 메이저 게임들을 의미합니다. 많은 기술이 구사된 만큼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시험할 때도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죠.

 

24  We can say that AMD is building a GPU that will at least challenge Nvidia in the high-end, and in such a way that Radeon has failed to do in recent years.

단언할 수 있는 것은 AMD가 적어도 Radeon이 최근 수년간 실패를 거듭해 온 하이엔드 분야에서 Nvidia와 겨룰 수 있는 GPU를 개발 중이라는 사실이다.

 

25  Is this Big Navi? It’s looking very likely.

이 GPU가 Big Navi일까? 그럴 가능성이 크다.

 

26  That’s an exciting enough prospect alone, but there’s also further confirmation of variable rate shading (VRS) and hardware-accelerated ray tracing out of Xbox’s announcement, too.

그것 하나만으로도 흥미진진한 예상이나 이와 더불어 Xbox의 발표를 통해 가변 비율 셰이딩(VRS)과 하드웨어 가속 레이 트레이싱 기능도 확인되었다.

prospect  /  confirmation

 

27  All in all, the use of AMD technology in both the Xbox Series X, PlayStation 5, and whatever else they’re dreaming up over at Microsoft and Sony, can only be a boon to AMD’s Zen 2 and RDNA ecosystem.

전반적으로 볼 때 Xbox Series X와 PlayStation 5에 모두 AMD가 채택되었다는 것과 더불어 마이크로소프트와 소니에서 진행 중인 어떤 프로젝트든 AMD의 Zen 2와 RDNA 에코시스템에는 혜택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dream up'은 무언가를 '생각해내다'라는 의미인데 그게 별로 실용적이지 못한 것이라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문장 전후의 맥락으로 보건데 긍정적인 뉘앙스로서 역설적으로 쓰였다고 볼 수 있겠네요.
'boon'이 또 한번 나왔네요. 여기서도 맥락에 맞춰 옮겼습니다.

boon

 

28  It looks like AMD will finally have a graphics card capable of competing with the very best from Nvidia, and we’re set to hear more about RDNA 2 come March 5.

AMD가 드디어 Nvidia의 플래그십 제품과 겨룰 수 있는 그래픽 카드를 선보이게 될 것으로 보이며 3월 5일에는 RDNA 2에 대해 더 많은 소식을 입수할 예정이다.

'Ready, set, go (제자리에, 준비, 땅)'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set to'는 '~할 예정이다'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3월 5일에는 Nvidia의 Financial Analyst Day가 예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차기 그래픽 아키텍처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하네요.

 

29  But don’t forget, the green team may have something special in store for later this year, too, in (name TBC) Nvidia Ampere.

하지만 그린팀(Nvidia)도 Nvidia Ampere(명칭 미확정)라는 명칭으로 올해 말에 무언가 특별한 것을 선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잊지 말자.

'in store for'가 또 나왔네요. 상징적으로 뭔가 감춰놓고 있다가 공개할 것이라는 의미.
'green team'은 게임 업계에서 Nvidia의 별칭, 'red team'은 Radeon(AMD)의 별칭입니다. 아래 로고를 보시면 그 유래는 바로 아시겠죠.

'TBC'는 'To Be Confirmed'(미확정)의 약자입니다. 유사한 표현들이 많은데 짚고 넘어가자면...

TBA = To Be Announced
TBC = To Be Confirmed / Continued
TBD = To Be Decided / Determined / Declared


30  Regardless, here’s to console manufacturers. Thanks for chucking tons of money at AMD, which, in turn, will make our gaming PCs all that much better.

어찌 되었든 콘솔 제조업체들에게는 전할 메세지가 있다. AMD에게 막대한 돈을 던져줘서 정말 고맙다. 우리가 사용하게 될 게이밍 PC가 훨씬 더 나아지게 생겼으니.

'chuck'는 '던지다/버리다'는 의미입니다. 콘솔에 어떤 그래픽 카드가 들어가면 필자는 PC로 게이밍을 할 거고, 콘솔용으로 개발한 그래픽 카드 기술은 PC용으로도 응용될 터이니... 감사할 수 밖에 없겠네요.